응급실이야기

ERCP와 ERBD 차이점 총정리! (정의, 과정, 적응증, 합병증)

응급실간호사 2025. 2. 28. 11:25
반응형

담도·췌관 검사와 치료, 어떻게 진행될까?
소화기내과에서 흔히 시행하는 **ERCP(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)**와 **ERBD(내시경적 담도 배액술)**는 담도 및 췌관 질환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인 시술입니다.

 

많은분 들이 "ERCP와 ERBD는 어떻게 다를까?" 라는 궁금증을 가지는데요.
이번 포스팅에서는 ERCP와 ERBD의 차이점, 적응증, 시술 과정, 합병증 등을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
 


1. ERCP란? (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)

**ERCP(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)**은 내시경과 조영제를 이용해 담관과 췌관의 이상을 확인하는 검사 및 치료 방법입니다.

 

ERCP의 주요 목적

  • 담관·췌관의 구조적 문제를 평가
  • 담석, 협착, 종양 등의 이상 여부 확인
  • 필요 시 담석 제거, 스텐트 삽입 등의 치료 진행

📌 ERCP 시술 과정

  1. 내시경 삽입: 입을 통해 십이지장까지 내시경 삽입
  2. 조영제 주입: 담관과 췌관을 확인하기 위해 조영제 주입
  3. X-ray 촬영: 실시간 영상으로 담도·췌관 구조 확인
  4. 필요 시 치료 진행: 담석 제거, 협착 확장, 스텐트 삽입 등

👉 ERCP는 단순한 검사뿐만 아니라 치료 목적으로도 활용됩니다.

🔎 ERCP 적응증

  • 담관 결석(담석증)
  • 담관 협착(담도 협착증)
  • 췌장염 및 췌관 이상
  • 담도 종양(담도암, 췌장암 의심 시)

 


2. ERBD란? (Endoscopic Retrograde Biliary Drainage)

**ERBD(내시경적 담도 배액술)**은 담관이 막혀 담즙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을 때 스텐트를 삽입하여 배액을 돕는 시술입니다.

 

ERBD의 주요 목적

  • 담도 폐쇄로 인한 황달 완화
  • 담즙 정체로 인한 감염(담관염) 예방
  • ERCP 후 담즙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때 보조 치료

📌 ERBD 시술 과정

  1. ERCP 시행 후 담관 협착 확인
  2. 담관에 플라스틱 or 금속 스텐트 삽입
  3. 담즙 배출을 원활하게 유도

👉 ERBD는 ERCP를 기반으로 한 치료적 시술이며, 특히 종양으로 인해 담관이 막혔을 때 필수적인 치료 방법입니다.

🔎 ERBD 적응증

  • 담도 폐쇄로 인한 황달(폐쇄성 황달)
  • 담도 협착(암, 염증으로 인한 협착)
  • 담즙 정체로 인한 감염 예방
  • 수술이 어려운 환자의 증상 완화(완화 치료 목적)

 


3. ERCP vs ERBD, 차이점은?

 

구분 ERCP (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) ERBD (내시경적 담도 배액술)
목적 담관·췌관 검사 및 치료 담관 배액을 위한 스텐트 삽입
주요 적응증 담석, 협착, 종양, 췌관 이상 담관 폐쇄로 인한 황달, 감염 예방
검사/치료 여부 검사 & 치료 가능 치료 목적 (배액)
시술 과정 조영제 주입 후 영상 촬영 ERCP 후 스텐트 삽입
필요 장비 내시경 + 조영제 + X-ray ERCP 장비 + 배액용 스텐트

 

 

👉 ERCP는 담관과 췌관을 검사하고 치료하는 방법이며,
👉 ERBD는 담즙 배출이 어려운 환자에게 스텐트를 삽입하는 배액 치료입니다.

 


4. ERCP & ERBD 시술 후 주의사항

ERCP와 ERBD는 비교적 안전한 시술이지만, 몇 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⚠️ 가능한 합병증

🚨 급성 췌장염: ERCP 후 가장 흔한 합병증 (일시적 췌장 염증)
🚨 출혈: 스텐트 삽입 후 출혈 가능성
🚨 감염 (담관염, 복막염): 스텐트 삽입 후 감염 발생 가능
🚨 천공: 드물지만 내시경 삽입 시 장 천공 위험

👉 시술 후 발열, 복통, 황달 악화 등이 발생하면 즉시 병원 방문이 필요합니다.

 

🩺 시술 후 관리 방법

✅ 시술 당일 금식 후 가벼운 식사부터 시작
✅ 복통, 발열, 황달 지속 시 즉시 병원 방문
✅ 담당 의사의 지시에 따라 스텐트 교체 주기 확인


5. 결론 – ERCP & ERBD 쉽게 이해하기

ERCP는 검사 & 치료가 가능한 시술,
ERBD는 담관이 막혔을 때 배액을 위한 치료법입니다.

 

 

💡 오늘의 요약
ERCP: 담관 & 췌관을 검사하고 치료하는 방법
ERBD: 담즙 배출이 어려운 경우 스텐트 삽입
둘의 차이: ERCP는 검사 + 치료, ERBD는 배액 치료 목적
합병증 주의: 시술 후 발열, 복통 시 병원 방문 필수

 

 

🔎 ERCP와 ERBD가 필요한 경우, 담당 의사와 충분히 상담 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이 글이 유익했다면, 공감(♥)과 댓글 부탁드립니다! 😊

반응형